'Houdini/Houdini [노트정리]'에 해당되는 글 2건
- 2011.03.07 [Houdini] Houdini101 (숫자패턴)
- 2011.01.20 Houdini 101 시작!! 2
- [Houdini] Houdini101 (숫자패턴)
- Houdini/Houdini [노트정리]
- 2011. 3. 7. 11:28
Group 노드에서의 숫자패턴(Numeric patterns)
* |
모든 포인트/프리미티브. |
number |
하나의 숫자. |
start-end |
주어진 숫자의 안의 모든 수. |
start-end:step |
step만큰 숫자를 건너뛰며서, 주어진 숫자의 안의 모든 수. |
!pattern |
패턴을 재외. |
^pattern |
이전의 숫자패턴에서 이 조건은 제외. |
예제:
10-20 |
10부터 20까지의 숫자(10과 20포함). |
0-30:2 |
0부터 30까지의 모든 2의배수(0, 2, 4, 6, … 30). |
0-30:2,3 |
0부터 30까지의 3개의 숫자중2개(0, 1, 3, 4, 6, 7, … 30). |
!3-5 |
3-5를 제외한 숫자 |
0-100:2 ^10-20 |
1부터 100부터 2의 배수중 10부터 20안에 들어 있지 않은 숫자. |
ch( )함수의 데이타형은 부동소수이며, 채널값을 받아서 리턴해 준다.
ch("/obj/geo1/tx") : 오브젝트 geo1의 x좌표값
ch("../box1/tx") : 같은 지오메트리 레벨에 있는 box1의 x좌표값
point( )함수는 부동소수를 리턴한다. 인자는 point(서페이스 노드 경로, 포인트넘버, 어트리뷰트, 인덱스)
point("/obj/geo1/facet1", 3, "P", 0)
" "는 String형일경우에 쓰이는데, 경로명과 어트리뷰트의 이름은 string형이기 때문에, " "로 감쌌다. facet이라는 노드의 3번 포인트(P)의 x값.
point("/obj/geo1/facet1", 3, "N", 2)
facet1노드의 3번 포인트의 z의 노말값.
'Houdini > Houdini [노트정리]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oudini 101 시작!! (2) | 2011.01.20 |
---|
- Houdini 101 시작!!
- Houdini/Houdini [노트정리]
- 2011. 1. 20. 16:05
자! 이제 슬슬 후디니를 파볼까?!
2011년에는 후디니다!!! 공부 하면서 포스팅해야겠다.
마야를 쓰다가 후디니를 접하니 가장 헷갈리고 개념이 안잡혀 있는것이 용어와 단축키이다.
후디니에 대해서 포스팅하기 전 간단한 용어와 단축키에 대해서 정리하는 것도 좋겠다고 생각하였다.
후디니 용어정리
Objects (OBJ) – networks of objects (geometry, light,camera, etc).
Geometry (SOP) – networks to construct a geometry’s shape.
Particle (POP) – networks for particle effect.
Compositing (COP2) –networks for 2D compositing.
Dynamic (DOP) – networks for dynamic effect.
Channel (CHOP) – networks for channel’s operation. “Channel” controls how a value changes over time.
Shaders (SHOP) – networks for creating different shaders.
Output (ROP) –networks for specifying the rendering settings.
VEX Builder (VOP) – networks for the Houdini scripting language called “VEX”.
후디니 핫키
Hot key for navigating the scene:
“space” + LMB : 텀블
“space” + MMB : 팬
“space” + RMB : 줌 인/아웃
“space” + “H” : default view로 전환
“space” + “G” : 모든 오브젝트보기
“space” + “B” : 4분할 화면 보기
“space” + “W” 와이어프레임과 쉐이드모드 보기
"ESC"누른 후 1 - persp / 2 - top / 3 - front / 4 - right / 5 - uv
"e" : 오브젝트 스케일
"r" : 오브젝트 회전
"t" : 오브젝트 이동
"s" : select툴
관련자료
PDF :
WebSite :
그리고, 후디니의 창색깔을 바꾸길 원한다면 다음과 같이 설정해주면 요즘대세인 킬블랙(?)으로 후디니인터페이스를 바꿀 수 있다.
Edit - Color Setting - Houdini Dark (UI)
Press 'D' - Dark (Background)
Wish me good luck!!!
2011년에는 후디니다!!! 공부 하면서 포스팅해야겠다.
마야를 쓰다가 후디니를 접하니 가장 헷갈리고 개념이 안잡혀 있는것이 용어와 단축키이다.
후디니에 대해서 포스팅하기 전 간단한 용어와 단축키에 대해서 정리하는 것도 좋겠다고 생각하였다.
후디니 용어정리
Objects (OBJ) – networks of objects (geometry, light,camera, etc).
Geometry (SOP) – networks to construct a geometry’s shape.
Particle (POP) – networks for particle effect.
Compositing (COP2) –networks for 2D compositing.
Dynamic (DOP) – networks for dynamic effect.
Channel (CHOP) – networks for channel’s operation. “Channel” controls how a value changes over time.
Shaders (SHOP) – networks for creating different shaders.
Output (ROP) –networks for specifying the rendering settings.
VEX Builder (VOP) – networks for the Houdini scripting language called “VEX”.
후디니 핫키
Hot key for navigating the scene:
“space” + LMB : 텀블
“space” + MMB : 팬
“space” + RMB : 줌 인/아웃
“space” + “H” : default view로 전환
“space” + “G” : 모든 오브젝트보기
“space” + “B” : 4분할 화면 보기
“space” + “W” 와이어프레임과 쉐이드모드 보기
"ESC"누른 후 1 - persp / 2 - top / 3 - front / 4 - right / 5 - uv
"e" : 오브젝트 스케일
"r" : 오브젝트 회전
"t" : 오브젝트 이동
"s" : select툴
관련자료
PDF :
WebSite :
그리고, 후디니의 창색깔을 바꾸길 원한다면 다음과 같이 설정해주면 요즘대세인 킬블랙(?)으로 후디니인터페이스를 바꿀 수 있다.
Wish me good luck!!!
'Houdini > Houdini [노트정리]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Houdini] Houdini101 (숫자패턴) (0) | 2011.03.07 |
---|
Recent comment